01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2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3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4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Press Release

아스트로젠 언론보도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약업신문] 애거슨바이오, 아스트로젠과 자폐스펙트럼 치료제 MOU 체결

[아스트로젠 황수경(왼쪽) 대표와 애거슨바이오 서승열 대표가 지난달 19일 아스트로젠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애거슨바이오, 아스트로젠과 자폐스펙트럼 치료제 MOU 체결 AST-001 3상 임상시험 원료의약품 공급 및 해외 진출 시 생산 역량 지원   애거슨바이오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 3상 임상시험을 앞둔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아스트로젠과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아스트로젠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만 2~11세 어린이 총 151명을 대상으로 전국 주요 대학병원에서 AST-001 치료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2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현재 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신청한 상태다. 애거슨바이오는 아스트로젠 AST-001 치료제 3상 임상시험을 위한 API(원료의약품)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아스트로젠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 AST-001의 해외 진출 시 애거슨바이오는 의약품 생산 역량을 지원한다. 아스트로젠 황수경 대표는 "원료의약품 공급과 의약품 생산 역량을 갖춘 애거슨바이오와의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 출시에 또 한 걸음을 내디뎠다"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를 환자에게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애거슨바이오 서승열 대표는 "아스트로젠의 의미 있는 치료제 개발에 동참하게 돼 뜻깊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가 상호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05-19

[한경]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 "자폐증 치료제 임상2상 성공…조건부허가 도전"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 "자폐증 치료제 임상2상 성공…조건부허가 도전" 입력2023.04.18 16:38 수정2023.04.18 16:38 지면C2 임상 2상 시험을 마친 뒤 환자 사례를 분석해보니 약을 투여한 101명 중 40명(39.6%)에게서 자폐 증상이 개선됐습니다. 상당한 임상 효과를 확인한 것입니다.”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사진)는 최근 기자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만 2~11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제 후보물질 ‘AST-001’의 국내 임상 2상에서 성공적인 결과 보고서를 받았다는 것이다. 약효를 확인한 아이들 중에는 부모와 감정 교류나 소통을 할 수 있게 된 사례가 많았다. 황 대표는 “사회성 개선이라는 임상시험 목표(1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고 했다. AST-001은 자폐증 환자의 핵심 증상인 ‘사회성 결여’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폐증 환자의 공격성 등을 줄이기 위한 약은 있었지만 사회성을 개선해주는 약은 없다. 이번 임상 2상 시험에는 만 2~11세 자폐증을 앓고 있는 유아와 아동 151명이 참여했다. AST-001는 의사 소통과 운동 영역 면에서 개선효과가 도드라졌다. 아이들은 언어 사용량과 운동량이 늘었다. 도어락 비밀번호를 스스로 누르고 문을 열 수 있게 됐다는 개선 사례도 보고됐다. 임상 결과 분석 과정을 통해 자폐증 치료에 ‘골든타임’이 있다는 사실도 간접적으로 확인했다. 황 대표는 “임상에 참여한 아이들 중 만 7세 이하 연령에서 사회성이 정상 수치까지 개선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며 “만 7세 이하일 때 치료해야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 아스트로젠은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3상 시험 계획(IND)을 제출했다. 아이들 160명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정밀하게 평가할 계획이다. 황 대표는 ‘조건부허가’에 대한 기대감도 밝혔다. ‘소아’ 자폐증은 환자 수가 2만명이 되지 않아 희귀질환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 식약처 지침에 따르면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은 임상 2상 결과에 따라 임상 3상을 전제로 의약품의 조기사용을 승인받을 수 있다. 황 대표는 “임상 시험에 참여한 아이들의 부모들은 AST-001 승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며 “하루라도 빨리 자폐증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관련기사 링크: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41849051 2023-04-18

대구 신약기업 아스트로젠, 자폐장애치료제 임상 2상 성공

대구 신약기업 아스트로젠, 자폐장애치료제 임상 2상 성공 매일경제 우성덕 기자 wsd@mk.co.kr 입력 : 2023-03-28 11:46:01 신약개발기업인 아스트로젠이 개발 중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가 국내 임상 2상에 성공했다. 대구시는 아스트로젠이 개발 중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 ‘AST-001(개발명)’이 국내 2상 임상에서 어린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핵심증상 개선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아스트로젠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2상 임상시험 결과보고서 제출을 완료했고 지난 16일 3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신청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핵심 증상은 사회적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에 따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것인데 현재 이 같은 핵심증상을 개선하는 치료제는 없다. 이에 임상 3상을 통과하면 해당 치료제는 소아 자폐스펙트럼장애 핵심증상에 대한 치료제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스트로젠은 2021년 상반기 코로나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7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임상 2상 환자 모집을 마치고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만2 ~ 11세 어린이 총 151명을 대상으로 전국의 주요 대학병원에서 AST-001 치료제에 대한 2상 임상시험을 진행한 바 있다.   아스트로젠에 따르면 임상시험 책임자로 참여한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보건복지부 질병 분류별 통계에 따르면 소아기 자폐증은 2011년 4173명에서 2021년 1만 2988명으로 약 3배 증가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며 ”2상 임상시험 결과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핵심 증상의 치료적 유의성과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대구에 본사를 둔 아스트로젠은 2017년 황수경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창업한 기업이다. 이후 대구시의 벤처육성사업 등 창업기업 맞춤형 지원을 통해 성장했고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아기유니콘, 같은 해 대구스타트업어워즈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유망 기업으로 주목을 받았다. 현재 대구시의 IPO(기업공개) 지원 사업을 발판으로 코스닥 상장도 준비 중이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대구시는 지식·기술집약적 미래 신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관련 창업기업을 성장단계별로 집중 지원하고 있다”며 “아스트로젠의 이번 성과를 계기로 향후 지역의 신약개발 창업과 의료산업이 획기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87381?sid=102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3281549000840104321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93991&code=11131419&cp=nv 2023-03-28

대구파티마병원, 아스트로젠과 헬스케어 공동연구 협약

대구파티마병원(병원장 김선미 골룸바 수녀)은 31일 아스트로젠(대표 황수경)과 헬스케어 분야의 공동연구 수행 및 의료복지 향상을 목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아스트로젠은 2017년 설립된 바이오헬스 기업으로 자폐증, 알츠하이머 등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제를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주요 협약 내용은 ▲ 산학연구 및 임상시험 분야에 대한 상호 협력 ▲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협력증진을 위한 사업 협력 등이다. 김선미 병원장은 “본원 산하의 파티마 의학연구소와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고객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밑거름이 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 URL: 대구파티마병원 아스트로젠과 헬스케어 공동연구 협약 | 한경닷컴 (hankyung.com) 2023-02-01
ASTROGEN

company about

㈜아스트로젠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알츠하이머병과 같이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신경질환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신약을 개발 중인 임상과 연구 중심의 Biotech 기업입니다.

다양한 유효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혁신신약으로 개발하기 위해
국내 및 글로벌 R&D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최고의 연구진들과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