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2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3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04 04

Boost Beyond Boundaries

아스트로젠은 혁신신약 개발을 통해
치료를 넘어 동반자로서 환자의 행복에 기여하겠습니다.

Press Release

아스트로젠 언론보도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의료 기술과 화장품의 융합", 아스트로젠–허니스트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맞춤형 구강 케어 제품 공동 개발

"의료 기술과 화장품의 융합", 아스트로젠–허니스트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맞춤형 구강 케어 제품 공동 개발 이통원 기자 tong@imaeil.com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아스트로젠은 화장품 및 의약외품 전문 OBM 기업 ㈜허니스트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위한 맞춤형 의약외품·화장품 공동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업은 의료와 화장품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일상 속 불편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마련했다. 우선 양사는 양치질에 어려움을 겪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버블 가글(Bubble Gargle)' 제품을 본격적으로 개발한다. 이 제품은 감각 과민으로 인해 일반적인 양치 행위에 불편함을 느끼는 아동들을 위해, 거품 형태로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케어 솔루션으로 기획됐다. 아스트로젠은 자폐스펙트럼장애 관련 임상 연구를 통해 축적한 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자폐 아동의 감각 특성 및 행동 패턴에 대한 전문 인사이트를 지원한다.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미세한 촉감이나 향에도 민감하게 반응해, 양치질과 같은 기본적인 위생 활동조차 쉽지 않다"며 "충치가 생기면 수면마취를 동반한 치료가 필요해 비용과 안전성 측면에서 보호자들의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협업을 통해 아이들이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구강 케어 경험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며, 단순한 위생 관리 차원을 넘어 이들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허니스트는 피부 및 구강 케어 분야에서 확보한 기술력과 안정성 검증 프로세스를 토대로, 자극이 적고 안전한 포뮬러 개발에 나선다. 특히 자폐 아동의 감각 과민 특성을 고려해 향료, 색소, 거품의 농도 등 세부 요소를 조정하며, 사용감과 안전성 검증을 병행할 계획이다. 허니스트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단순한 제품 개발을 넘어 신경 발달장애 아동의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사회적 포용을 확대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허니스트의 기술력이 실제 가정에서 아동과 보호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출발점으로 자폐 아동을 위한 구강 케어 제품 외에도 감각 과민 완화용 맞춤형 화장품 개발로 연구 영역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임상 기반의 신경 질환 전문 지식과 화장품 기술이 결합된 '메디컬-코스메틱(Medical-Cosmetic)' 협업 모델을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아스트로젠은 저분자 화합물 기반 신경질환 치료제 연구 기업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 후보물질 'AST-001(스페라젠)'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허니스트는 OBM(Original Brand Manufacturing) 시스템을 갖춘 화장품 및 의약외품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에서 제조, 브랜딩까지 전 과정을 자체 수행하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기사원문: `의료 기술과 화장품의 융합`, 아스트로젠–허니스트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맞춤형 구강 케어 제품 공동 개발 - 매일신문 2025-10-23

디티앤씨알오, 아스트로젠과 차세대 항암제 후보물질 협력

비임상·임상시험수탁기관(CRO) 디티앤씨알오가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아스트로젠과 협력,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13일 디티앤씨알오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 9일 아스트로젠 후속 신약 개발 협력을 목표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주요 내용은 아스트로젠의 차세대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인 'AST-035A' 개발에 대한 협력이다. AST-035A는 글로벌 제약에서 핵심 기술로 조명 받고 있는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저분자 신규 항암제 약물이다. 해당 약물은 기존 항암제의 한계점인 내성 문제를 극복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로서 생존 기간이 짧은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을 주요 적응증으로 개발 중이다. AST-035A는 현재 분당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한국원자력의학원 등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 중이다. 향후 간암 등 적절한 치료제가 없는 암종으로의 적응증 확대 가능성을 확인해 연구 중이다. AST-035A는 비임상 단계에서 암 억제 효능을 성공적으로 입증했으며, 현재 '임상시험계획승인(IND)' 신청을 준비 중이다. 디티앤씨알오와의 협력을 통해 임상시험 설계 및 진행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시험·연구 환경을 제공받아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아스트로젠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핵심증장 치료제 'AST-001' 임상 3상 시험을 완료해 국내 허가를 앞두고 있다. AST-001은 지난해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이를 기반으로 AST-035A와 같은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후속 신약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디티앤씨알오는 의약품 비임상·임상시험 및 평가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AST-035A 개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타겟 중심의 시험 디자인과 체계적인 연구 과정을 통해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약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아스트로젠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제에 이어 항암제 분야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디티앤씨알오와의 협업은 글로벌 시장, 특히 미국과 유럽 진출에 필요한 임상 및 비임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butter@fnnews.com 강경래 기자 원문기사 : https://www.fnnews.com/news/202501131852509547 2025-01-13

[K-People] '세계 최초 자폐치료제' 눈앞에 둔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

임상 3상 마무리 단계…"핵심증상 '사회성 결여' 상당부분 호전시켜" 의대 교수서 사업가로…"'우영우'로 관심 커졌지만 자폐아·가족 고통은 여전" "최종 목표, 적어도 하나의 난치성 질환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 [황수경 아스트로젠 대표이사]   (서울=연합뉴스) 김지선 기자 = "약 복용 2주 만에 아이 스스로 현관문 도어락 비밀번호를 누르고 들어오는 모습을 보고 뒤통수를 망치로 얻어맞은 것 같았다는 엄마 이야기가 기억에 남아요. 그전까진 수백번 알려줘도 한 번도 못 하던 중증 자폐아였거든요." 소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를 개발 중인 황수경(45) 아스트로젠 대표이사는 최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인 자폐 환아 가족에게 가느다란 동아줄이 되고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 대표는 "지금 당장 완치까지는 아니더라도 아들딸과 눈을 마주치고 대화하고 손잡고 공원에 가는 소소한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작년 3월 국내 임상 2상에 성공한 소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제 후보물질 'AST-001'은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pruning)를 활성화해 소아 신경망이 지나치게 발달하는 것을 조절하도록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11개 주요 대학병원에서 만 2∼7세 아동 169명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임상 3상은 내년 초 종료를 앞두고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아직 근본적 치료 약이 없는 만큼 계획대로 된다면 '세계 최초'인 셈이다. 황 대표는 "아직 뚜껑을 열기 전이라 말하기 조심스럽지만, 긍정적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 동구 아스트로젠 본사 전경]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문제가 생겨 행동 패턴, 관심사나 흥미, 활동 범위 등이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특징을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 소아 자폐증 환자 수는 2만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응용행동분석(ABA) 치료 등에만 의존하는지라 보호자들이 느끼는 경제적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다. 동반 증상을 가라앉히는 데 쓰이는 항정신병제는 약물 간 상호작용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황 대표는 "AST-001은 핵심 증상인 '사회성 결여'를 상당 부분 호전시켜줄 뿐 아니라, 인체에 해가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이라고 소개했다. 실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만 2∼11세 151명에게 시행했던 임상 2상의 결과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사회적 적응행동 측정 평가 도구인 바인랜드 적응행동 조합점수로 측정한 1차 유효성 평가에서 12주에 고용량 군 환자의 61%, 24주에는 78% 이상에서 유의미한 증상 개선이 확인된 것. 또 2차 유효성 평가 변수인 사회적 반응 척도 2판(SRS-2) 기준으로 사회성이 정상범위에 들어온 환자는 전체의 18%에 달했다. [2024 바이오 국제 컨벤션에서 회사를 소개하는 황수경 대표] 특히 의사소통과 운동능력에서 효능이 탁월했으며, 호명 반응과 눈맞춤이 좋아졌다는 것이 공통적인 특징. '편식이 완화되고 외출이 편해졌다' 등의 사례도 보고됐다. 황 대표는 연구 과정에서 자폐증 치료의 '결정적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사실도 간접적으로 확인했다고 한다. 임상 3상에서 대상 연령을 만 7세 이하로 축소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시험이 끝나고 최종결과보고서를 제출한 후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기까지 평균 1년 반 이상 소요되는 만큼, 이를 앞당기기 위해 '조건부 허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5월 식약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는 등 약물의 효과성과 안전성이 어느 정도 입증된 만큼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의 부모들도 소명서를 통해 힘을 보탰다. 황 대표는 "제품 출시를 오매불망 기다리는 엄마·아빠의 간절한 사연을 접할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뿐"이라며 "신약 개발은 '속도전'인 만큼 하루라도 빨리 시장에 내놓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업광고 주인공 김시혁 군과 함께 한 황수경 대표(가운데)] 경북대병원 소아신경과 교수였던 그가 사업가로 변신하게 된 계기는 1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신경 발달장애를 앓고 있는 아이들을 진료하며, 진단은 하지만 치료를 할 수 없는 현실에 좌절감을 느끼던 중 한 자폐 환아의 대사 검사에서 특정 아미노산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 것. 이후 백방으로 수소문해 해당 물질을 투약한 결과, 드라마틱한 변화를 경험한 그는 지난 2017년 창업을 결심했다. 황 대표는 "대학 병원과 제약사를 찾아다녔지만 결국 직접 하지 않으면 아무도 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약으로 처방해주고 싶다는 생각에 겁도 없이 뛰어들었다"고 회상했다. 근래 공개한 아스트로젠 기업 광고 '너와 나의 눈이 마주칠 때까지' 편에 출연한 김시혁(15) 군 또한 8세 때부터 자신이 주치의로 돌봐온 환자였다고 그는 전했다. [기업광고 '외로웠던 세상, 이제 함께' 편]   재작년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우영우)를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재조명됐지만, 자폐아와 그 가족이 겪는 현실은 고통 속에서 희망도 없이 몇번이고 자식의 손을 놓을까 말까 망설이는 엄마의 모습('외로웠던 세상, 이제 함께' 편)에 가깝다는 것이 황 대표의 설명. 자신 역시 사춘기 딸(12)을 둔 엄마이기에 절망적이기만 했던 아이들이 새로 태어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짜릿해 기업을 일구며 닥친 여러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대구에 본사를 둔 아스트로젠은 자폐 외에도 다양한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 IPO(기업공개)를 통해 코스닥 시장 입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 기장 공장 설립과 함께 글로벌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이다. 황 대표의 최종 목표는 '백신의 탄생과 함께 소아마비가 종식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난치성 질환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오늘도 바쁘게 뛰고 있다.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41117043200371?input=1195m 2024-11-18
ASTROGEN

company about

㈜아스트로젠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제를
빠르게 개발, 상용화하여, 환자의 절실한 필요에 근거한 약물을
수년 이내 복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임상의사, 의약화학자, 간호사, 약사, 보호자의 긴밀한 협력으로
유효성, 안전성, 복용 편의성, 특허성이 증가된 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의 주도 개발(clinician-led development)을 통해
빠른 임상 진입과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Notice

아스트로젠의 다양한 소식을
쉽고 정확하게 만나보세요!